-
목차
반응형엑셀 날짜 빼기 쉽게 해결! 두 날짜 차이 계산하는 공식
엑셀에서 날짜 계산은 업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 중 하나입니다.
특히, 프로젝트 마감일 계산, 근무 일수 확인, 나이 계산 등 날짜 간 차이를 구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엑셀에서는 날짜를 단순히 빼는 방법부터 특정 함수(DATEDIF, DAYS, NETWORKDAYS)를 활용하는 방법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날짜 차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엑셀에서 두 날짜 차이를 쉽게 계산하는 공식과 실무에서 유용한 활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.
▶ 1. 엑셀에서 날짜 빼기가 필요한 이유
○ 날짜 간격을 계산하면 업무 일정 관리가 쉬워집니다.
○ 급여, 연차, 프로젝트 일정, 나이 계산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.
○ 엑셀에는 다양한 날짜 차이 계산 함수가 있어 정확한 값 도출이 가능합니다.◆ 주요 활용 사례
◇ 프로젝트 마감일까지 남은 날짜 계산
◇ 특정 기간 동안 근무 일수 계산
◇ 두 날짜 사이의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한 실제 근무일 계산
◇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나이 계산★ Tip: 단순한 날짜 차이는 빼기(-) 연산으로도 가능하지만, 특정 조건을 포함해야 할 경우 함수를 활용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.
⇒ 업무 유형에 따라 적절한 날짜 계산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▶ 2. 날짜 빼기 기본 공식 (일수 차이 구하기)
엑셀에서 가장 간단한 방법은 **"-" (빼기 연산자)**를 활용하는 것입니다.
◆ 단순 빼기 연산으로 날짜 차이 계산
◇ 공식: =종료일 - 시작일
◇ 예제:
A열 (시작일) B열 (종료일) C열 (날짜 차이) 2024-01-01 2024-01-10 =B2-A2 → 9일 2024-03-15 2024-03-25 =B3-A3 → 10일 ◇ 설명:
- 종료일에서 시작일을 빼면 두 날짜 간 차이(일수)가 반환됩니다.
- 단순 일수 계산이므로,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한 값이 필요하면 추가적인 함수가 필요합니다.
★ Tip: 엑셀에서 날짜는 기본적으로 숫자로 저장되므로, 단순 빼기 연산으로도 일수 계산이 가능합니다.
⇒ 간단한 계산은 빼기(-) 연산으로 충분합니다.
▶ 3. 날짜 차이 계산을 위한 함수 활용법
엑셀에는 보다 정밀한 날짜 차이 계산을 위한 여러 함수가 제공됩니다.
◆ 1) DATEDIF 함수로 날짜 차이 계산 (일, 개월, 연도 단위)
DATEDIF 함수는 두 날짜 간 차이를 일(D), 개월(M), 연(Y) 단위로 계산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.
◇ 공식:
- =DATEDIF(시작일, 종료일, "D") → 일 수 차이
- =DATEDIF(시작일, 종료일, "M") → 개월 수 차이
- =DATEDIF(시작일, 종료일, "Y") → 연도 차이
◇ 예제:
시작일 종료일 일수 차이 개월 차이 연도 차이
2023-01-01 2024-01-01 =DATEDIF(A2, B2, "D") → 365일 =DATEDIF(A2, B2, "M") → 12개월 =DATEDIF(A2, B2, "Y") → 1년 ★ Tip: DATEDIF는 공식 도움말에는 표시되지 않지만, 날짜 차이를 계산하는 강력한 함수입니다.
⇒ 연, 월, 일 단위별 날짜 차이를 계산할 때 유용합니다.
◆ 2) DAYS 함수로 날짜 차이 계산
DAYS 함수는 두 날짜 간 차이를 계산하는 함수입니다.
◇ 공식: =DAYS(종료일, 시작일)
◇ 예제:
- =DAYS("2024-01-10", "2024-01-01") → 결과: 9
★ Tip: DAYS 함수는 단순히 날짜 차이만 반환하므로, 다른 기능을 추가하고 싶다면 추가적인 함수 조합이 필요합니다.
⇒ DATEDIF와 비슷하지만, 더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◆ 3) NETWORKDAYS 함수로 주말 제외 근무일 계산
NETWORKDAYS 함수는 주말(토, 일)을 제외한 실제 근무일 수를 계산할 때 유용한 함수입니다.
공휴일을 반영하는 옵션도 제공됩니다.◇ 공식: =NETWORKDAYS(시작일, 종료일, 공휴일 범위)
◇ 예제:
시작일 종료일 공휴일 근무일 수
2024-01-01 2024-01-10 없음 =NETWORKDAYS(A2, B2) → 7일 2024-01-01 2024-01-10 2024-01-05 =NETWORKDAYS(A2, B2, C2) → 6일 ★ Tip: 공휴일을 별도로 지정하면, 더 정확한 근무일 계산이 가능합니다.
⇒ 실제 근무일을 계산해야 할 때 NETWORKDAYS 함수를 활용하세요.
▶ 4. 날짜 차이 계산 방법 비교
방법 공식 주요 특징 단순 빼기(-) =종료일-시작일 가장 간단한 방식, 주말 포함 DATEDIF 함수 =DATEDIF(시작일, 종료일, "D") 연, 월, 일 단위 계산 가능 DAYS 함수 =DAYS(종료일, 시작일) 단순한 날짜 차이 계산 NETWORKDAYS 함수 =NETWORKDAYS(시작일, 종료일, 공휴일 범위) 주말 & 공휴일 제외 가능 ★ Tip: 단순 날짜 계산은 빼기(-), 주말 & 공휴일 제외는 NETWORKDAYS가 가장 적합합니다.
⇒ 필요한 기능에 맞는 함수를 선택하세요.
▶ 5. 날짜 빼기 요약 정리
○ 엑셀에서 날짜 차이를 계산하려면 기본적으로 빼기(-) 연산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○ DATEDIF 함수는 연, 월, 일 단위 차이를 계산할 때 유용합니다.
○ DAYS 함수는 두 날짜 간 단순 차이를 구할 때 사용됩니다.
○ NETWORKDAYS 함수는 주말을 제외한 근무일 수 계산에 적합합니다.⇒ 업무에서 날짜 계산이 필요하다면, 위 함수들을 적절히 활용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얻어보세요!
#엑셀날짜계산 #엑셀날짜빼기 #엑셀DATEDIF #엑셀DAYS #엑셀NETWORKDAYS #엑셀근무일계산 #엑셀프로젝트관리 #엑셀업무자동화 #엑셀함수활용 #엑셀기초
반응형'자기계발 > 오피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엑셀 틀고정 인쇄 설정! 표가 잘리거나 틀고정이 풀릴 때 해결법 (0) 2025.03.17 엑셀 틀고정 쉽게 하는 방법! 스크롤 내려도 행/열 고정하기 (0) 2025.03.17 엑셀 날짜 자동변환 방지! 입력값 그대로 유지하는 방법 (0) 2025.03.16 엑셀 중복값 찾기 초간단 방법! 조건부 서식 & 함수 활용법 (0) 2025.03.16 엑셀 리서치 끄기 방법! 불필요한 검색 창 없애는 법 (0) 2025.03.16